경남·부산·울산 지역 대학들의 존폐 위기감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번 기회에 고등교육정책의 근간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올해 들어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는 지방대학 위기는 이미 예견된 일이라는 점에서 사실 놀라울 게 없다. 지난 10년 동안 진행된 학령인구 감소를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인구감소라는 요인 이외에도 교육제도가 노동시장에 제대로 조응하지 못하면서 지방대학 위기를 더욱 촉진한 측면도 있다. 줄어드는 정규직 일자리라는 환경에서 노동시장에 새로이 진입해야 하는 젊은 청년층이 각종 고시와 공무원 시험으로 몰리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다보니 대학의 존재감은 더욱 낮아졌다는 지적이다. 흔히 인문학으로 총칭되는 기초학문이 경시되면서 당장 취업에 도움이 되는 응용학문의 존재감만 커져가는 현실을 도외시한다면 대학 위기는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교육문제는 가장 먼저 지방대학 위기로 나타나고 있다. 날로 심해지는 수도권 인구집중과 지역편중 현상으로 지역은 고사상태에 빠져 있는 현실에서 지방대학 위기는 당연한 부산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학 재학생 수 감소는 대학재정 악화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론 전공학과 축소로 진행되는 악순환이 경남·부산·울산 지역 대학들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정부의 재정지원을 늘려 달라는 요구도 나온다. 그러나 정부가 현재의 고등교육정책을 수정하지 않은 채 대학에 재정지원만 늘리는 건 밑 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지적도 있다.

대학의 근본적 존재이유는 개인적 입신과 양명이 아니라 사회와 국가를 지탱하는 집단 지성을 양성해야 하는 역할이다. 지금의 대학이 공동체를 관통하고 공감을 얻는 시대정신을 만드는 데 얼마나 기여하였는지부터 반문해 볼 필요가 있다. 자정 노력과 실천의지를 상실한 조직은 생존 가능성마저도 극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런 고민 속에서 고등교육정책 방향과 내용을 전면적으로 바꾸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