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폭 피해 증명했던 투쟁사 재구성
인권운동 과정·가족 이야기도 생생
"평화 지키려는 마음이 핵 이겨내"

오월과 작별인사할 때쯤 떠오르는 사람 김형률.

'핵 없는 세상을 일구기 위해 삶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이 말은 고 김형률(1970.7.28~2005.5.29) 묘비에 새겨져 있는 문구다.

서른다섯 일찍 떠났지만, 누구보다 삶에 대한 애착은 남달랐던 흔적이 김옥숙 소설가 손으로 태어났다. 책 <김형률>에는 반핵인권운동가, 원폭 피해자 2세 김형률의 삶이 고스란히 담겼다.

▲ 〈김형률〉 김옥숙 지음

"합천에 원폭 기념관이 생겼으면 좋겠다." 생전에 그가 일기에 썼던 말이다. 왜 합천인지는 숫자와 역사가 말한다. 2019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에 노출되어 피해를 입은 한국인 피해자가 7만 명이다. 이 중에서 4만 명이 당시 피폭으로 사망하고, 생존자 중 2만 3000명이 귀국한 것으로 추정한다.

피해 생존자 중 합천 사람이 많았다. 일제강점기 히로시마로 간 이들은 대부분 강제 노역을 당하거나 먹고살 일자리를 찾아 스스로 고향 땅을 떠난 경우였다.

김형률의 어머니는 여섯 살 나이에 히로시마에서 원폭 피해를 입었다. 그는 자신이 왜 그리 몸이 약한지 병이 무엇인지 찾고 또 찾았다. 그리고 피폭 후유증이 유전된다는 사실을 알렸다. 2002년 기자회견은 한국 사회에 충격을 줬다. 해방 이후 60년 동안 묻혀있던 일을 그는 온몸으로 증명했다.

"드러내지 않으면 안 됩니다. 원폭 후유증으로 아픈 것은 창피하고 부끄러운 일이 절대 아닙니다. 아프면 아프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우리 원폭 2세 환우들의 삶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 김형률 씨 생전 모습. /경남도민일보 DB
▲ 김형률 씨 생전 모습. /경남도민일보 DB

키 162㎝, 몸무게 36㎏, 폐의 기능이 30%밖에 남지 않은 형률에게 포기란 없었다. 원폭 2세 환우를 찾아 전국을 돌아다녔다.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조사도 되지 않은 현실을 비판하면서 연대할 이들을 찾고 끈질기게 설득했다. 그 길에 든든한 지지자인 아버지가 늘 함께했다.

"아버지는 지하철 계단도 숨이 가빠 제대로 오르내리지 못하는 아들을 업고 어디라도 오르내렸습니다. 아버지는 원폭 관련 자료가 잔뜩 들어 있는 무거운 배낭까지 메고……(중략) 아버지의 등은 아들이 흘린 눈물과 비 오듯 흘린 아버지의 땀으로 금세 축축해졌습니다."

그런 아버지는 형률의 뜻을 이어서 핵무기의 무서움을 세상에 알리고 원폭 피해 2세 환우들의 인권 운동에 헌신했다.

▲ 영화 〈리틀보이 12725〉에 나오는 반핵인권운동가 김형률의 방. /스틸컷
▲ 영화 〈리틀보이 12725〉에 나오는 반핵인권운동가 김형률의 방. /스틸컷

김형률의 활동은 기록이 되었고, 국가인권위에서 원폭 피해자와 2세에 대한 실태조사가 시작됐다. 2016년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 만들어진 계기도 그의 인권회복 운동에서 왔다.

'붉은 꽃처럼 뚝 떨어져 버린 반핵인권 운동가 김형률'. 2017년 부산민주공원에 있던 그의 납골함은 합천 묘역으로 옮겨졌다. 아버지의 뜻이었고, 2019년 합천서 처음 추모제가 열렸다.

작가 김옥숙도 합천이 고향이다. 김 작가는 평화가 저절로 찾아오지 않는다고 말한다. "핵을 이겨 낼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생명에 대한 사랑, 평화를 지키려는 고귀한 마음입니다. 평화는 저절로 오지 않습니다. 그 누구도 대신 지켜 주지 않습니다."

누구보다 삶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던 사람. 그리운 모습을 마음에 그린다. 152쪽. 1만 3000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