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응급의료체계가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현황에 따르면 응급환자가 발병 후 2시간 이내 응급실에 도착하는 비율이 경남은 31.4%로 광주, 대전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았다. 응급환자 생존율은 지역 격차가 더 심화됐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심·뇌혈관질환자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지역 격차가 2006년 4.2%p에서 2017년 8.6%p로 2배로 벌어졌다. 경남은 3대 중증응급질환으로 꼽히는 심혈관, 뇌혈관, 중증외상 사망률이 전국 1위다. 지역에 중증응급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이 적어 골든타임을 놓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또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체계도 문제다. 교통사고 중상자가 지역 응급실에 겨우 도착해도 중증외상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도 있다. 구급대원과 응급의료기관의 유기적 협조 체계가 필요하다. 응급의료기관에 경증 환자까지 몰려 병상이 부족해 중증응급환자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한다. 평소에 중증응급환자를 위해 적정수의 병상을 확보할 수 있는 의료체계가 필요하고 정부는 합당한 보상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경남의 응급의료 기관과 응급전문의 숫자는 모두 취약하다. 권역센터 3곳, 지역센터 7곳, 지역기관 27곳 등 37곳이 있다. 중증응급환자는 지역센터급 이상에서 치료할 수 있는데 하동군과 함안군은 지역기관조차 없는 의료취약지역으로 기본적인 응급처치도 받기 어렵다. 공공의료기관 확충이 절실하다. 생활 및 업무 환경이 열악한 시군 지역 응급전문의 확보를 위해 정부가 보상 차원 제도를 만드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심근경색증은 우리나라에서 최근 10년간 2배로 급증하고 있다. 2010년 6만 6000명에서 2020년에는 12만 1000여 명으로 늘었다. 심근경색이나 뇌혈관질환자는 암과 달리 발생 순간 잘 치료하면 잘 살아갈 수 있다. 암 환자 국가 등록제처럼 심근경색, 뇌혈관질환자는 정부가 발병에서 이송, 치료 등 모든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선진국 정부에 걸맞은 응급의료체계를 정비하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