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상태는 위급을 다투는데 막상 가까운 데 이를 해결할 병원이 없다면 그 답답한 심정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경남에는 이런 안타까운 처지에 놓인 기초단체가 여럿이다. 그만큼 응급의료체계가 열악하다. 늦었지만 응급의료 지원 조례를 제정해 도내 응급 이송체계 개선에 나설 것이라니 다행스럽기 짝이 없다.

20일 경남도 응급의료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토론회에서는 응급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하지 못해 목숨을 잃은 안타까운 사례들이 발표됐다. 다른 시도 사례이지만 경남에서도 비슷한 사례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경남지역은 응급환자 발병 후 2시간 내 병원 도착 비율이 광주 29%에 이어 31%로 전국 최하위권이기 때문이다. 경남 18개 시군 중 응급의료 취약지는 산청, 하동, 합천이 매우 취약하고 거창, 고성, 남해, 사천, 의령, 창녕, 함안은 취약으로 그보다 좀 나은데 이를 합하면 모두 10곳이다. 도내 농촌지역은 거의 포함된 셈인데 농촌지역은 고령화, 거친 농사일 등으로 응급 상황 발생 가능성이 높다.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응급의료체계가 미흡한 것은 운영이 어려워 민간의료기관이 감당할 수 없어서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하동군은 응급실이 있었으나 군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에도 결국 문을 닫고 말아 응급실이 없는 동안 군민들은 인근 진주나 광양 등으로 가야 해 그 불편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였다. 다행히 최근 다시 응급실이 생겼지만 민간병원 특성상 하동군과 경남도가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지 않으면 언제 다시 문을 닫을지 모른다.

토론회에서는 지역 응급의료체계를 개선하려는 방안들도 나왔다. 현재 관련 조례는 업무 구체성이 떨어지고 세부 지침이 없어 예산 부여 등이 어려운 현실이며 의료기관과 행정이 응급의료 협력 체계를 수립해 상시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지역 단위 응급의료자원 조사를 기반으로, 3대 중증 응급질환 중심 지역별 응급환자 이송 지도를 마련해 적정 병원 이송 관리체계도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응급의료 의사결정과 정책결정 시스템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했다.

응급의료체계 확보는 삶의 질이 달린 문제이다. 기왕에 조례 제정 말이 나왔으니 한시라도 빨리 제정되길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