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1989년 전교조 결성을 이유로 해직됐던 경남지역 교사 15명이 기자회견을 열어 김상권 교육감 후보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교육감 후보 TV토론에서 전국교직원노조를 마치 권력의 단맛을 좇는 조직괴물로 표현한 일에 대해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전교조에 대한 찬반 논란은 교육감 선거 때 등장하는 단골 주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교육감이라는 공적인 직함은 전교조 찬반 입장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현안을 해결하는 자리이다. 물론 전교조 논란은 유권자들에게 보수와 진보를 구분할 수 있는 잣대로 이용된 전례가 있다. 또한 선거에서 굳이 다룰 필요가 없는 주제를 부각해 자신의 표를 결집하려는 의지를 선거 전략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선거 프레임이라고 하더라도 넘지 말아야 할 도덕적인 금지나 기준선은 존재한다. 특히 남북분단이라는 특수상황이 계속되는 한반도에서 진보적이거나 개혁적인 생각을 빨갱이로 도배하는 행위의 의도는 많은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일반 시민을 일방적으로 편 가르기 하면서 자신의 지지집단에겐 일종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는 이미 익숙한 구태일 뿐이다.

전교조라는 조직은 교원 권리를 보호하고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직업별 노조이다. 특히 교원노조 활동은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는 게 민주주의 정치제도이다. 물론 제삼자인 외부자 시선에서 보면 맘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헌법이 보장하는 합법적 조직을 부정하는 행위는 도들 넘어선 일방적 궤변이자 헛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전교조 조직이 김상권 후보에게 명예훼손을 이야기하면서 공개사과를 요구하는 게 충분히 납득된다.

경남 학교 현장에선 지금 과거 이념논쟁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대책 마련부터 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출산율 저하로 인구절벽이 실제 현실로 등장하면서 초·중등학교 유지조차 의문시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단순히 농어촌 벽지만이 아니라 도시지역에서도 발생하는 학교 통폐합 문제를 등한시하면 결국 지역공동체는 소멸로 갈 수밖에 없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