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이은문화살롱 북콘서트
신 작가 〈아버지에게 갔었어〉
"가부장제 속 아버지 깨고팠다"

7일 어스름한 저녁에 찾은 마산 창동예술촌 골목, 따스한 조명이 비추는 문화예술공간 ‘이은문화살롱’을 찾았다. 퇴근을 하고 부리나케 달려온 노동자부터 부산에서 한달음에 찾아온 시인까지 저마다 책 <아버지에게 갔었어>를 손에 꼭 쥔 채로 옹기종기 모여들었다. 작가 신경숙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이은문화살롱이 마련한 ‘신경숙 북콘서트’는 이은혜 대표 인사말로 문을 열었다. 이야기 나눔에 앞서 조승완·이영령 성악가가 ‘시간에 기대어’와 ‘망향’을 노래하며 차분한 분위기를 선물했다. 이날 사회는 정미숙 문학평론가(부산해양대 교수)가 맡았다.

이은문화살롱이 7일 마련한 북콘서트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신경숙 작가. /박정연 기자
이은문화살롱이 7일 마련한 북콘서트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신경숙 작가. /박정연 기자

정 교수는 신 작가를 향해 ‘지독하게 많이 쓰는 작가’라고 칭하며 자전적 소설 <아버지에게 갔었어>를 쓰게 된 계기를 물었다.

“<엄마를 부탁해> 이후로 아버지에 관한 책을 낼 생각은 없느냐는 질문을 참 많이 받았습니다. 그때마다 아버지 이야기는 쓰지 않겠다 생각하던 게 어느 순간 달리 다가왔어요. 인생을 다 살아낸 노구, 그 몸속에 있는 한국 현대사 비극과 슬픔이 지워지지 않고 생생하게 기억되고 재현되고 있다는 걸 지켜보면서 생각이 많아졌죠.”

결국 신 작가는 아버지 이야기를 썼다. 지난해 3월에 책이 나왔고, 아버지는 딸의 책을 정성스럽게 쓰다듬었다. 그해 8월 부친은 눈을 감았다.

이어 사회자는 소설에 등장하는 아버지를 놓고 “가부장제 속 전형적인 아버지 모습이 아니라고 보는 시각이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질문을 던졌다.

“과거 그 시대의 아버지는 이랬을 것, 그것을 깨고 싶었습니다. 소설 속 아버지는 지금 시대에 데려다 놓아도 모자람이 없는 사람이죠. 의식이라든지 자식 중에 딸을 대하는 마음이라든지 (저의 아버지를 통해) 그동안 말수가 없어서 몰랐던 부분이 진짜 마음이었구나 깨달았기 때문에 이렇게 쓸 수 있었습니다.”

이날 객석에서도 질문이 이어졌다. 부산의 한 고등학교 교사이자 시를 쓰는 서형호 씨는 “10살 때 <샘터>라는 책을 만나고 책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며 “어린 시절 처음 접한 책은 교과서라는 무서운 존재였는데 다섯 누이가 읍내에서 구해 온 샘터 덕분에 책이라는, 글이라는 매력에 빠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 작가를 향해 좋은 소설은 무엇인지 물었다.

“메시지가 너무 분명해서 읽는 사람을 설득하려 한다거나 어떤 캐릭터가 진두지휘를 해서 소설 속에 나오는 다른 인물들을 억압해서 다른 캐릭터가 보이지 않게 한다든지 이런 작품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열 사람이 같은 책을 읽었지만 똑같은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라 전부 다 다른 이야기를 한다면 그런 작품이 좋은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끝으로 신 작가는 자신의 글쓰기는 ‘반성문’에서 시작됐다고 밝히며 북콘서트를 마무리했다.

“16살에 정읍을 떠나 오빠가 있는 서울집에서 살게 됐습니다. 1979년부터 1982년 직전까지 오후 5시를 기다렸습니다. 학교에 갈 수 있었으니까요. 스테레오를 만드는 동남전기에 다닐 때였는데 퇴근하고 학교에 가는 생활을 반복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선생님이 며칠만 더 결석하면 제적을 당할 수 있다고 가정 방문을 오셨습니다. 그렇게 오고 싶어하던 학교를 왜 안 오느냐고 물으시더군요. 혼내는 게 아니라 저에게 물으셨어요. 주산·부기·타자를 배우기보다 책이 너무 읽고 싶다고 솔직하게 말씀을 드렸어요. 선생님이 약속해 주셨어요 책을 읽게 해주겠다고. 대신 반성문을 써오라고 하셨는데, 얼마 뒤 선생님은 저를 부르셔서 너는 글 쓰는 사람이 되라고 하셨어요. 덕분에 졸업도 무사히 마치고 지금까지 반성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박정연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