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사회면에 눈에 띄는 기사가 있었다. ‘은행 ATM(현금자동입출금기) 장애인 이용 불편 여전’이라는 제목이 붙은 기사였다. 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가 경남지역 ATM 장애인 접근성·기기 활용성을 모니터링한 결과였다.

경제부에서 은행을 맡고 있으므로, ‘이제 은행들이 답해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조사 대상 중 경남에서 ATM을 가장 많이 보유한 경남은행과 NH농협은행 경남영업본부 등 2곳에 장애인 접근성 개선 노력에 관해 물었다. 우선 답변을 받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다. 한 은행 담당자는 점포마다 경사로 등이 설치돼 있는지 일일이 점검하는 수고로움을 마다치 않았다. 다만 경사로가 생색내기용으로 놓여 있어 실제 장애인 통행에 도움이 안 되는 곳을 세세하게 걸러내지는 못했다. 다른 은행은 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 발표 자료를 복사해 가져갔다. 담당 부서에서 자료를 꼼꼼히 살펴보고 개선할 부분을 찾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 하지만 직접적인 소통은 다소 꺼리는 듯해 아쉬움도 있었다.

그동안 은행들은 장애인 접근성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일례로 비장애인 가슴까지 오던 은행 창구는 지금은 누구나 앉은 상태에서 상담할 수 있도록 낮아졌다. 비록 내부 환경 개선 공사가 이뤄지지 않은 점포가 있지만,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은행들도 공공기관처럼 변해가고 있다.

이동욱.jpg
누군가 또는 시민단체 등이 지역사회에서 문제를 제기하면, 해당 기관이나 단체는 답해야 할 의무가 있지 않을까. 이게 자연스러운 소통 아닐까. 한쪽에서 입 닫고 모르는 체하면 일방적인 비판만 되풀이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지역사회는 발전하기는커녕 오히려 퇴보할 수밖에 없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