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에서 건폭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특히 건설노조 조합원이었던 고 양회동 지대장의 분신사건을 두고 온갖 음모론과 모략이 창궐하고 있다. 건설노조를 마치 악당과 악질의 대명사로 여기는 언론의 프레임마저도 당연시되는 분위기다.

반노조주의로 똘똘 뭉친 정치적 주장들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오히려 현재 건설업이 처해 있는 현실부터 뜯어보아야 한다. 산업현장 노동자들을 폭력집단인 양 매도하는 분위기는 정치적 권모술수를 넘어 특별한 의도에서 나온 행위일 뿐이다. 특정 정치세력의 저열함을 숨기면서 자신들 무능을 다른 집단이나 세력에게 넘기려는 저급한 수법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는 평범한 노동자들을 무슨 대단한 폭도인 양 취급하는 언론 행태에선 정말로 과거 공안통치 방식의 역겨운 냄새를 맡게 한다. 즉, 건설업에서 만들어지는 이윤을 사용자 일방으로 몰아가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건설노동자들을 마치 조폭처럼 취급하면서 1990년대 발생한 신행주대교,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와 같은 초대형 사고의 원인을 망각하고 있다. 붕괴사고 원인이었던 부실시공에 대한 문제 제기로 1996년부터 시공참여자 제도가 시행됐다. 하지만 이 제도는 이후 다단계 하도급이 양산되는 시발점이 되면서 산업적 견제장치로서 의미는 줄어들었다. 현재 건설업에서 당연시되는 하도급 체계는 지난해 광주 아이파크 붕괴사건의 원인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건설 산업에서 임금체불이나 8시간 노동 및 유급휴일 제도 도입과 산재 예방·처리 문제는 노조가 주로 책임을 맡고 역할을 해왔다. 다시 말해 '노가다'나 '인생막장'이라는 식으로 비하되던 건설업을 산업 반열로 끌어올린 공로는 건설노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을 부정하려고 하다 보니 노조 반감과 혐오가 지나치게 표출되는 것이다. 최소한의 존중이나 평가는 찾아보기 어렵고 막말이나 욕설에 가까운 혐오로 가득한 언사를 고상한 정치적 행위라고 볼 수는 없다. 특히 모략에 가까운 주장은 정치가 아니라 산업발전을 가로막는 반이성적인 장애물로 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